본문 바로가기
나의 일상/서브노트

[Sub Notes] 바이러스성 VS 세균성 폐렴(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와 세균)

by alldig 2024. 5. 1.
반응형

[Main 글로 가는 Link]

[나의 일상/육아기록] - 아이 폐렴 걸리고 뒤늦게 폐렴에 대해 총정리 하기(종류, 원인, 치료법, 입원, 실비 등등)


1. 세균과 바이러스 차이

구조

  • 세균: 단일 세포로 이루어진 완전한 생명체입니다. 세포막, 세포벽, 핵, DNA, RNA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스로 번식하고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크기는 일반적으로 1~5 마이크로미터 정도입니다.
  • 바이러스: 세포가 아닌 단백질 외피에 둘러싸인 유전 물질(DNA 또는 RNA)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스스로 번식하거나 에너지를 생산할 수 없고, 숙주 세포에 침투하여 숙주 세포의 기계를 이용해 번식합니다. 크기는 일반적으로 200~300 나노미터 정도로, 세균보다 훨씬 작습니다.

번식

  • 세균: 분열이라는 방식으로 스스로 번식합니다.
  • 바이러스: 숙주 세포에 침투하여 숙주 세포의 기계를 이용해 자신의 유전 물질을 복제하고 번식합니다.

질병

  • 세균: 폐렴, 뇌막염, 이뇨로 감염, 피부 감염 등 다양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바이러스: 감기, 독감, AIDS, 홍역, COVID-19 등 다양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치료

  • 세균: 대부분의 세균성 질병은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항생제 내성 세균이 증가하고 있어 치료가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 바이러스: 대부분의 바이러스성 질병은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지만, 치료는 증상 완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일부 바이러스성 질병은 항바이러스제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예방

  • 세균: 손 씻기, 음식 조리 시 위생 관리, 백신 접종 등을 통해 예방할 수 있습니다.
  • 바이러스: 손 씻기, 마스크 착용, 사회적 거리두기, 백신 접종 등을 통해 예방할 수 있습니다.

2. 바이러스성 폐렴 vs 세균성폐렴

원인

  • 바이러스성 폐렴: RSV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 다양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 세균성 폐렴: 폐렴구균, 미코플라즈마, 클람이디아 등 다양한 세균에 의해 발생합니다.

증상

  • 바이러스성 폐렴: 일반적으로 세균성 폐렴보다 증상이 더 경미하고 점진적으로 나타납니다.
    • 기침 (가래 있거나 없음)
    • 발열
    • 콧물
    • 인후통
    • 숨가쁨
    • 피로감
    • 근육통
    • 구토 또는 설사 (일부 경우)
  • 세균성 폐렴: 갑작스럽고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고열
    • 오한
    • 객혈 (혈痰)
    • 급격한 호흡 악화
    • 흉통
    • 혼란 또는 의식 저하 (심각한 경우)

진단

  • 바이러스성 폐렴:
    • 흉부 X레이
    • 가래 검사
    • 혈액 검사
  • 세균성 폐렴:
    • 흉부 X레이
    • 가래 검사 및 배양
    • 혈액 검사

치료

  • 바이러스성 폐렴: 대부분의 경우 증상 완화에 초점을 맞춘 치료가 필요합니다.
    • 충분한 휴식
    • 수분 섭취
    • 진통제 및 해열제
    • 기침 완화제
    • 증상이 심하거나 특정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세균성 폐렴: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가래 배양 검사를 통해 원인균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치료 기간은 보통 7~10일 정도이지만, 증상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 증상이 심하거나 특정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치료제

  • 바이러스성 폐렴:
    • 아만타딘, 리바비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성 폐렴)
    • RSV 항바이러스제 (개발 중)
  • 세균성 폐렴:
    • 아모xicillin, 클라리트로마이신, 레보플록사신 등 다양한 항생제가 사용됩니다.

예방

  • 바이러스성 폐렴:
    • 손 씻기
    • 기침이나 재채기 시 입 코 가리기
    • 충분한 휴식
    • 영양 균형 잡힌 식단
    • 흡연 피하기
    • 백신 접종 (인플루엔자, RSV 등)
  • 세균성 폐렴:
    • 흡연 피하기
    • 영양 균형 잡힌 식단
    • 만성 질환 관리
    • 백신 접종 (폐렴구균, 백신접합형 히브인플루엔자 등)

3. 호흡기 질환 유발하는  바이러스와 세균 

ㅇ 마이크로플라즈마폐렴균에 동그라미친건 우리 아이가 걸린거라 그래요. 의미 없어요

 


[관련글, 참고자료]

AI(GEMINI) 답변내용

씨젠의료제단 검사 팜플렛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