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이전글에서 AI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고 다른글에서는 블로그글 요약기능을 한번 봤습니다. 제 마음속의 승리자는 COPILOT 이었습니다. 요약을 시킨 원문 블로그글 자체가 지저분하고 정리가 깔끔하게 된 글이 아니라서 그런지 AI엔진별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게 다른것 같았고 제가 원하는 대로 100% 만족하게 요약해준 AI는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신문기사로 한번 비교해보려고 합니다. 아무래도 신문기사는 전달하고자 하는게 좀 명확하지 않을까 싶어서 신문기사로 비교해 봅니다.
비교순서는 챗GPT, COPILOT, GIMINI, CLOVAX, PERPLEXITY 5가지 AI순으로 하고 총2건의 기사를 요약시켜 볼게요. 리포트기사 하나 문답식인터뷰 기사 하나를 물어보겠습니다.
블로그글 요약글에서 보듯이 복사 후 붙여넣기는 모든 AI엔진이 요약이 가능했지만(COPILOT은 사용방법이 조금 달랐습니다. 이건 서브노트로 별도로 작성해볼게요) 링크를 주고 요약해달라고 하면 챗GPT랑 COPILOT만 요약이 되었는데, 네이버뉴스 링크를 주고 요약해 달라고 해봤더니 이번에는 블로그때랑 다르게 PERPLEXITY만 요약을 해주네요.(나머지는 해주는데 다른 기사를 요약해줍니다.)
이런 이유로 앞으로는 복사해서 붙여넣기로 5개를 다 물어볼게요. 어떻게든 요약 잘해주는게 중요하니까요.(COPLIOT은 엣지브라우저에서 물어볼게요)
[질문방법]
AI는 어떻게 질문했는지가 아주 중요하다. 결과가 나오면 "더 짧게 요약해줘", "더 길게해줘", "니가 말한 이내용에 이런내용 추가해서 다시 요약해줘" 등등 을 추가해서 물어보면 다른 답변을 내놓는다. 그렇게 점진적으로 상세화 하는 방법은 나중에 알아보고 이번글에서는 단순하게 1차원적으로 묻고 그 결과를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차원적인 질문에 답변을 잘한 AI엔진이 고차원적인 질문도 답변을 잘 할거라는 생각이 깔려있습니다)
아래글 요약해줘
(해석하고 싶은 블로그글 전체 복사해서 붙여넣는다)
1. 르포형식의 기사

[결과와 평가(주관적 순위)]
- 일단 저도(사람은 어떻게 요약할까가 궁금해서) 요약을 해봤는데요. 요약하다보니 각자 중요하게 생각하는게 무엇이냐에 따라 당연히 요약도 달라지겠네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런 관점에서는 그냥 제일 길게 요약해준 GEMINI도 신문기사 다 읽는것 보다는 시간을 줄여줄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들고 한편으로는 다른거에 비해서 기니까 요약을 제대로 안한것 같기도 하네요.
- 암튼 저는 5가지중에 나열식으로 표기해서 보기에는 안 좋지만 내용적으로는 맨 마지막인 PERPLEXITY가 중간정도의 무난함이 좋았던 것 같습니다.
[내 요약]
|
||
[챗GPT]
아산의 탕정지구가 부동산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신축 아파트 분양권 거래가 활발한데, 최근에는 더샵 탕정인피니티시티 1차에서 400건 이상의 분양권 거래가 이루어졌습니다. 이 지역은 일자리와 인구가 늘어나면서 건설사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산시 전체 부동산 시장이 활성화된 것은 아니며, 구축 아파트의 거래는 한층 소규모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아산과 천안 지역에서는 새로 개발되고 확장되는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
||
[COPILOT]
이 웹 페이지는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의 부동산 시장에 대한 기사입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
[GEMINI]
아산 탕정지구, 직주근접 효과로 신축 분양권 거래 활발 1. 탕정지구 인기 급상승
2. 탕정역 근처 신축 아파트 분양 활발
3. 탕정지구 주변 아파트 시세
4. 천안·아산지역, '공급지역'으로 주목
5. 아산 전체 부동산 시장은 침체
7. 탕정지구, 아산 미래 성장 핵심지로 주목
주의사항:
|
||
[CLOVAX]
해당 기사는 아산 탕정지구의 부동산 시장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
[PERPLEXITY]
이 뉴스는 아산탕정지구에서 발생한 부동산 시장의 상황을 다루고 있습니다. 아산탕정지구에는 삼선전자 계열사들이 입주하면서 대규모 산업단지가 조성됐고, 이에 따라 아파트 공급이 집중되었습니다. 아산시 인구도 해마다 늘고 있어 직주근접이 가능한 신축 아파트가 주목 받고 있습니다. '더샵 탕정인피니티시티' 1차는 2026년 1월 입주 예정되어 우수한 청약 성적을 거두며 업계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이 단지는 KTX와 SRT를 이용할 수 있는 천안아산역에서 자차로 10분 떨어진 위치에 있으며, 향후 GTX-C 노선이 확정되면 '교통 요충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더샵 탕정인피니티시티' 1차는 평균 52.6 대 1의 1순위 청약경쟁률을 기록했고, 단기간에 계약률 100%를 달성했습니다. 이 단지에서 분양 후에도 약 3개월 동안 400건이 넘는 분양권 거래가 이뤄졌습니다. 초기 자금 부담이 적고 주변 아파트 시세 대비 분양가가 저렴한 데 더욱 거래를 활발하게 한 요소가 있었습니다. 지역 건설사는 아산과 천안 지역을 수도권 다음으로 꼽는 '공급지역'으로 주목하고 있습니다. 최근 일자리와 인구가 함께 증가하고 있어 아파트를 공급하면 수요도 충분히 뒷받침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아산 전체 부동산 시장이 활성화됐다는 것은 어렵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구축 매매 거래는 실수요자 위주로 거래가 간간이 이뤄지고 있으며, 미분양 물량이 상당하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편입니다. 아산시에 따르면 미분양주택수는 지난해 11월 말 2687건에서 12월 말 2266가구로 420여가구 줄었지만, 올해 1월 말 2317가구로 늘었습니다. 이는 충남 전체(약 5000개) 미분양 물량의 절반에 가까운 비중이라고 합니다. |
2. 인터뷰형식(질문과 대답) 형식의 기사
위에서는 르포(리포트) 형식의 기사였고 아래는 앵커가 인터뷰하면서 응답식으로 하는 기사를 요약해 달라고 요청해봤습니다.
[원문 신문기사]
https://n.news.naver.com/article/437/0000388849?cds=news_media_pc&type=editn

[결과와 평가(주관적 순위)]
[내 요약]
이하 생략(요약하기 힘듬) |
||
[챗GPT]
이가혁 기자는 쿠팡의 '와우 멤버십' 구독료 58% 인상에 대해 이수진 박사와 논의합니다. 쿠팡의 결정은 자금 확보와 고객 선택에 따른 것으로, 경쟁에서 중간에 낀 쿠팡은 품질과 가격 조절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려 합니다. 이수진 박사는 C커머스의 파급력과 쿠팡의 전략을 중요시하며, 구독료 인상의 사업적 배경과 소비자 심리를 설명합니다. 또한, 쿠팡의 경쟁 업체로서 네이버와 신세계의 움직임과 구독 플레이션에 대한 이야기를 덧붙이며 현명한 소비 방법에 대해 논의합니다. |
||
[COPILOT]
이 웹 페이지는 JTBC 뉴스 기자 이가혁의 인터뷰 기사로, 쿠팡의 ‘와우 멤버십’ 구독료 58% 인상에 대한 분석을 담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독료 인상 배경: 쿠팡은 C커머스의 공세에 대응하고 새로운 투자를 위한 자금 확보를 위해 구독료를 인상했다고 주장합니다. 시장 포지셔닝: 쿠팡은 저가-저품질 시장과 고가-고품질 시장 사이에서 ‘중간에 끼인’ 상태로, 이를 탈출하기 위해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가격을 인상했습니다. 소비자 반응: 구독료 인상에도 불구하고, 쿠팡은 소비자들이 취소하지 않고 구독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는 쿠팡이 제공하는 가치와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 때문입니다. 경쟁 업체 동향: 쿠팡의 구독료 인상으로 인해 네이버나 신세계와 같은 경쟁 업체들이 쿠팡을 이탈하는 고객들을 영입하려는 움직임이 있습니다. 이 기사는 경제 섹션으로 분류되며, 자세한 내용은 JTBC 유튜브 라이브 '뉴스들어가혁’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GEMINI]
쿠팡 와우 멤버십 가격 인상 요약 및 소비자 조언 1. 인상 배경 및 주요 내용
|
||
[CLOVAX]
해당 기사는 쿠팡의 '와우 멤버십' 구독료 인상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
||
[PERPLEXITY]
이 글에서는 쿠팡이 최근에 인상한 '와우 멤버십' 구독료에 대해 논의하고 있습니다. 이 인상에 대한 의견이 다양하며, 쿠팡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2018년 이후 꾸준하게 증가한 현금성 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현금 보유량은 충분한 여유자금 확보를 위해 사용되었다고 밝혀졌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인상에 대한 의견은 소비자 선택에 크게 상쇄되는 두가지 요소가 있다고 밝혀졌습니다. 고품질-저가격과 저가-저품질 상품 선택에 대한 민감성이 있는 소비자들이 있고, C커머스는 저가-저품질 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상황이며, 고가-고품질 시장은 백화점 등 다른 버티컬 커머스들이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쿠팡은 '중간에 끼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쿠팡은 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해 품질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하여 가격을 인하하거나, 새로운 경험을 제공해야 합니다. 쿠팡은 풀필먼트를 강화하여 서비스 품질을 올리고, 가격을 인상했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쿠팡이 압도적인 규모를 가지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적절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2가지 기사요약을 시키면서 각 AI 엔진별로 제가 느낀 주관적인 평가는 아래와 같습니다.
- 챗GPT: 최대한 압축해서 요약해주는 느낌
- GEMINI: 반대로 최대한 많은 내용을 보여주는 스타일
- COPILOT: 요약을 하긴하는데 뭔가 중심주제에서 벗어나서 자기만의 주제를 만드는 느낌
- CLOVAX, PERPLEXITY: 중간정도의 무난함
그럼 하나만 선택해서 쓰라고 하면 뭘쓸래? 라고 물어보면.... 이정도 기사는 그냥 제가 빠르게 읽고 내용을 파악할게요 라고 대답하겠습니다.
그래서 다음번에는 엄청나게 긴 소설이나 논문을 찾아서 요약 시켜보겠습니다. 아직 안해봤지만 너무 긴글은 "한페이지로 요약해줘 "란 식으로 물어봐야 할 것 같네요.
다음글로 뵙겠습니다.
'AI 활용법 > AI 성능비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 AI 별로 "블로그 글 작성하기" 비교해 보기(feat.근로자의 날) (0) | 2024.04.27 |
---|---|
각 AI별로 글 "요약기능" 사용하고 비교해보기(블로그 요약) (0) | 2024.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