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각 AI별로 "블로그글 작성하기" 비교해보기

by alldig 2024. 4. 24.
반응형

오늘 비교는 "블로그글 작성하기"입니다. 그렇지 않아도 블로그 글로 중국의 대표지수와 홍콩 대표지수를 정리하고 거기 해당하는 etf를 정리해보고 싶었는데 겸사겸사해서 저 대신 글을 작성하도록 시켜 볼 생각입니다.

이전글 비교글들은 질문내용이 좀 부실한데요. 공부하다보니 ai 사용은 프롬프트에 질문을 어떻게 하느냐가 아주 중요하더라고요.(공부글: https://alldig0001.tistory.com/32) 그래서 오늘은 제 스스로 공부도 할 겸 해서 질문을 이전보다 좀 길고 세부적으로 물어보고 답변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첫번째 사용한 AI엔진에서는 멀티턴 방식으로 맘에 들 때까지 반복적으로 필요한 사항을 추가해 달라고 요청하는 내용까지 담았습니다. 나머지는 여기서 얻은 경험으로 1번만(싱글턴) 질문해 볼게요.(싱글턴으로 원하는 답변을 얻는 건 불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그냥 원하는 게 나올 때까지 멀티턴으로 하던가 아니면 정리된 질문을 구체적을 나눠야 원하는 답변이 나옵니다.)

사용해 볼 AI엔진의 종류는 이전글에서 몇 개를 뽑아서 사용해 보겠습니다.

AI엔진 종류는 이전글을 참고해 주세요(https://alldig0001.tistory.com/12)

1. GPT-4 이용(뤼튼사이트 이용)

 
 
안정된단팥빵6882
경제블로거 처럼 작성부탁할게 아래 내용이 포함되게 작성해줘
  1. 중국증시 대표지수의 종류와 종목
  2. 대표지수에 투자하는 국내 ETF 종류 3가지, 수수료 포함해서 작성


뤼튼GPT-4
중국 증시의 이해와 국내 투자자를 위한 ETF 안내
중국 증시에는 여러 대표지수가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주목해야 할 지수와 그 지수를 구성하는 주요 종목, 그리고 이러한 중국 증시에 투자할 수 있는 국내 ETF 상품 3가지를 포함한 수수료 정보까지 상세히 다루어보겠습니다.


중국 증시 대표지수와 주요 종목
  1. 상하이종합지수(Shanghai Composite Index)
  • 중국 상하이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모든 주식을 대상으로 하며, 중국 경제의 전반적인 상황을 반영하는 지수입니다. 상하이 자동차, 중국건설은행 등 다양한 업종의 대형주가 포함됩니다.
  1. 선전종합지수(SZSE Component Index)
  • 선전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 중 시가총액과 유동성이 높은 주식으로 구성됩니다. 기술 중심의 기업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중국의 신성장 동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1. 홍콩항셍지수(Hang Seng Index)
  • 홍콩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 중 시가총액과 유동성이 높은 50개 주식으로 구성된 지수입니다. 이 지수는 홍콩뿐만 아니라 중국 본토 기업들도 포함하고 있어 중국 경제의 바로미터 역할을 합니다.


국내에서 투자할 수 있는 중국 대표지수 ETF 3가지
  1. KODEX 중국 A50(207930)
  • 이 ETF는 중국 A주 중에서도 시가총액이 크고 유동성이 높은 상위 50개 종목으로 구성된 FTSE China A50 지수를 추종합니다. 수수료는 연 0.65%입니다.
  1. TIGER 차이나CSI300(192090)
  • CSI 300 지수를 추종하는 이 ETF는 상하이와 선전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중국 내 주식 중에서 시가총액과 유동성이 높은 상위 300개 종목을 포함합니다. 수수료는 연 0.60%입니다.
  1. KBSTAR 중국 A주 대표(주)(361580)
  • 중국 A주 시장의 대표적인 주식을 포함하는 이 ETF는 다양한 업종의 중국 기업에 분산 투자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수수료는 연 0.69%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위의 ETF 상품들은 중국 증시에 투자하고자 하는 국내 투자자들에게 접근성과 다양성을 제공합니다. 중국 경제의 성장 잠재력을 누리고자 하는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정보가 될 것입니다. 다만, 투자 결정에 앞서 각 상품의 상세한 정보와 시장 상황을 더욱 면밀히 조사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 위에서는 총 3개의 ETF를 알려줬는데 각 지수별로 3가지씩 ETF가 포함되기를 원해서 다시 질문함
  • 답변에는 중국증시 대표지수가 포함이 안 됨
  • 답변해준 수수료 검색해보면 다 틀림. 이건 21년도 자료까지만 학습했기 때문?



안정된단팥빵6882
국내에서 투자할 수 있는 ETF 3가지는 상해지수, 선전지수, 홍콩항생지수 각각 3가지씩 작성해줘


뤼튼GPT-4


상해지수(Shanghai Composite Index)에 투자하는 ETF
  1. KINDEX 중국본토CSI300(Ticker: 168580) - 이 ETF는 중국 본토의 상해와 선전 거래소에 상장된 주식 중 시가총액과 유동성이 높은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 300 지수를 추종합니다. 수수료는 약 0.59%입니다.
  2. TIGER 차이나CSI300(Ticker: 192090) - CSI 300 지수를 추종하여 중국 본토 시장에 투자하는 ETF로, 중국의 대표적인 주식들에 투자하고자 할 때 적합합니다. 수수료는 약 0.60%입니다.
  3. KBSTAR 중국본토대표CSI300(Ticker: 287180) - 이 ETF 역시 CSI 300 지수를 기반으로 하여, 중국 본토 시장의 대표적인 주식에 분산 투자를 목표로 합니다. 수수료는 약 0.65%입니다.


선전지수(SZSE Component Index)에 투자하는 ETF
  1. KODEX 차이나H(Ticker: 256750) - 선전 및 상해 시장에 상장된 H주(홍콩에 상장된 중국 본토 기업 주식) 중에서 선정된 주식을 담고 있으며, 선전 및 상해 시장에 대한 투자를 원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수수료는 약 0.65%입니다.
  2. TIGER 차이나A셀렉션(Ticker: 150460) - 선전지수를 포함한 중국 A주 시장에 투자하며, 중국 내수 시장의 성장을 기대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수수료는 약 0.70%입니다.
  3. KBSTAR 차이나H(Ticker: 291130) - 중국 본토 기업들의 H주에 집중 투자하는 ETF로, 중국 본토 기업들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수수료는 약 0.69%입니다.


홍콩항생지수(Hang Seng Index)에 투자하는 ETF
  1. KODEX 홍콩H(Ticker: 280920) - 홍콩 항생지수에 포함된 주요 기업들에 투자하는 ETF로, 홍콩 시장의 대표적인 기업들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약 0.65%입니다.
  2. TIGER 홍콩H(Ticker: 310080) - 이 ETF는 홍콩 항생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으로, 홍콩 시장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수수료는 약 0.69%입니다.
  3. ARIRANG 홍콩테크(Ticker: 309210) - 이 ETF는 홍콩의 기술 관련 주요 기업들에 집중 투자하는 상품으로, 홍콩의 기술 부문 성장을 기대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수수료는 약 0.69%입니다.


이러한 ETF들은 한국 투자자들이 중국 본토, 선전, 그리고 홍콩 시장에 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차량을 제공합니다. 각 ETF는 특정 지수를 추종하며, 해당 지역의 시장 동향을 반영하는 다양한 기업들로 구성됩니다. 투자하기 전에 각 ETF의 특징, 수수료, 그리고 투자 목표를 신중하게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 ETF의 상세한 정보와 해당 국가의 경제 상황, 정치적 이슈, 환율 변동 등 다양한 외부 요인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개인의 투자 목표와 위험 감수 능력을 고려하여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제공된 자료와 정보는 투자자 여러분이 보다 정보에 입각한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위에서는 중국증시 내용이 누락되어서 하는김에 대표종목 포함해서 작성하도록 다시 질문함


안정된단팥빵6882
중국 대표지수


상하이종합지수(Shanghai Composite Index)
선전종합지수(SZSE Component Index)
홍콩항셍지수(Hang Seng Index)


이 3가지를 대표종목 5개씩 포함해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해줄래


뤼튼 GPT-4
중국과 홍콩의 대표적인 증시 지수인 상하이종합지수(Shanghai Composite Index), 선전종합지수(SZSE Component Index), 홍콩항셍지수(Hang Seng Index)는 각각 그 지역의 주식 시장 상황을 반영합니다. 아래는 각 지수를 대표하는 주요 종목 5개와 간략한 설명입니다.
상하이종합지수(Shanghai Composite Index)
상하이종합지수는 중국 상하이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모든 주식을 대상으로 산출되는 지수입니다. 중국 본토의 경제 상황을 가장 넓게 반영하는 지수 중 하나입니다.
대표 종목:
  1. ICBC (Industrial and Commercial Bank of China) - 세계 최대의 은행 중 하나로, 중국 최대의 상업은행입니다.
  2. PetroChina - 중국 최대의 오일 및 가스 회사로, 세계적으로 중요한 에너지 공급업체입니다.
  3. China Life Insurance - 중국 최대의 생명보험 회사로, 다양한 보험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4. SAIC Motor - 중국 최대의 자동차 제조사 중 하나로, 다양한 브랜드의 자동차를 생산합니다.
  5. Agricultural Bank of China - 중국의 주요 상업은행 중 하나로, 광범위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선전종합지수(SZSE Component Index)
선전종합지수는 중국 선전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 중에서 대표적인 종목으로 구성된 지수입니다. 특히 기술 및 혁신 중심의 기업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대표 종목:
  1. Tencent - 글로벌 IT 기업으로, 소셜 네트워킹, 메신저(WeChat), 게임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 BYD Company - 전기차 및 배터리 제조업체로,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3. Vanke - 중국 최대의 부동산 개발 회사 중 하나로, 주거 및 상업용 부동산 개발을 주도합니다.
  4. Midea Group - 주요 가전 제조업체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5. Ping An Insurance - 종합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형 보험 회사로, 보험 외에도 은행업 및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홍콩항셍지수(Hang Seng Index)
홍콩항셍지수는 홍콩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 중에서 시가총액이 크고 유동성이 높은 주요 기업들로 구성된 지수입니다. 홍콩 및 글로벌 시장의 경제 상황을 반영합니다.
대표 종목:
  1. HSBC Holdings - 글로벌 금융 서비스 회사로, 홍콩 및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 Tencent - (선전종합지수에도 포함된) 글로벌 IT 기업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3. CCB (China Construction Bank) - 중국에서 두 번째로 큰 상업은행으로, 광범위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4. AIA Group -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큰 독립 공개 생명보험 그룹입니다.
  5. China Mobile - 중국 최대의 이동통신 회사로,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와 모바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세 지수는 모두 중국 및 홍콩의 경제와 금융 시장의 중요한 부분을 나타내며, 각각의 지수에 포함된 대표 종목들은 해당 지역의 경제 성장과 발전을 주도하는 핵심 기업들입니다. 상하이종합지수와 선전종합지수는 중국 본토의 경제 활동을, 홍콩항셍지수는 홍콩 및 글로벌 시장의 경제 상황을 반영합니다. 이러한 지수들과 그 구성 종목들을 통해 투자자들은 중국 및 홍콩의 시장 동향을 파악하고, 투자 결정에 참고할 수 있습니다.
 
  • 글은 위에서 나온 내용 대표증시와 ETF 내용 등등 원하는 부분만 각각 발췌하여 아래와 같습니다.
  • 수수료는 틀린값을 적어줍니다.


중국 증시의 이해와 국내 투자자를 위한 ETF 안내
중국 증시에는 여러 대표지수가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주목해야 할 지수와 그 지수를 구성하는 주요 종목, 그리고 이러한 중국 증시에 투자할 수 있는 국내 ETF 상품 3가지를 포함한 수수료 정보까지 상세히 다루어보겠습니다.


[중국증시 대표지수]


상하이종합지수(Shanghai Composite Index)
상하이종합지수는 중국 상하이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모든 주식을 대상으로 산출되는 지수입니다. 중국 본토의 경제 상황을 가장 넓게 반영하는 지수 중 하나입니다.


대표 종목:
  1. ICBC (Industrial and Commercial Bank of China) - 세계 최대의 은행 중 하나로, 중국 최대의 상업은행입니다.
  2. PetroChina - 중국 최대의 오일 및 가스 회사로, 세계적으로 중요한 에너지 공급업체입니다.
  3. China Life Insurance - 중국 최대의 생명보험 회사로, 다양한 보험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4. SAIC Motor - 중국 최대의 자동차 제조사 중 하나로, 다양한 브랜드의 자동차를 생산합니다.
  5. Agricultural Bank of China - 중국의 주요 상업은행 중 하나로, 광범위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선전종합지수(SZSE Component Index)
선전종합지수는 중국 선전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 중에서 대표적인 종목으로 구성된 지수입니다. 특히 기술 및 혁신 중심의 기업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대표 종목:
  1. Tencent - 글로벌 IT 기업으로, 소셜 네트워킹, 메신저(WeChat), 게임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 BYD Company - 전기차 및 배터리 제조업체로,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3. Vanke - 중국 최대의 부동산 개발 회사 중 하나로, 주거 및 상업용 부동산 개발을 주도합니다.
  4. Midea Group - 주요 가전 제조업체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Ping An Insurance - 종합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형 보험 회사로, 보험 외에도 은행업 및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홍콩항셍지수(Hang Seng Index)
홍콩항셍지수는 홍콩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 중에서 시가총액이 크고 유동성이 높은 주요 기업들로 구성된 지수입니다. 홍콩 및 글로벌 시장의 경제 상황을 반영합니다.


대표 종목:
  1. HSBC Holdings - 글로벌 금융 서비스 회사로, 홍콩 및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 Tencent - (선전종합지수에도 포함된) 글로벌 IT 기업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3. CCB (China Construction Bank) - 중국에서 두 번째로 큰 상업은행으로, 광범위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4. AIA Group -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큰 독립 공개 생명보험 그룹입니다.
  5. China Mobile - 중국 최대의 이동통신 회사로,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와 모바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중국 대표지수에 투자하는 국내 ETF]


상해지수(Shanghai Composite Index)에 투자하는 ETF
  1. KINDEX 중국본토CSI300(Ticker: 168580) - 이 ETF는 중국 본토의 상해와 선전 거래소에 상장된 주식 중 시가총액과 유동성이 높은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 300 지수를 추종합니다. 수수료는 약 0.59%입니다.
  2. TIGER 차이나CSI300(Ticker: 192090) - CSI 300 지수를 추종하여 중국 본토 시장에 투자하는 ETF로, 중국의 대표적인 주식들에 투자하고자 할 때 적합합니다. 수수료는 약 0.60%입니다.
  3. KBSTAR 중국본토대표CSI300(Ticker: 287180) - 이 ETF 역시 CSI 300 지수를 기반으로 하여, 중국 본토 시장의 대표적인 주식에 분산 투자를 목표로 합니다. 수수료는 약 0.65%입니다.


선전지수(SZSE Component Index)에 투자하는 ETF
  1. KODEX 차이나H(Ticker: 256750) - 선전 및 상해 시장에 상장된 H주(홍콩에 상장된 중국 본토 기업 주식) 중에서 선정된 주식을 담고 있으며, 선전 및 상해 시장에 대한 투자를 원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수수료는 약 0.65%입니다.
  2. TIGER 차이나A셀렉션(Ticker: 150460) - 선전지수를 포함한 중국 A주 시장에 투자하며, 중국 내수 시장의 성장을 기대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수수료는 약 0.70%입니다.
  3. KBSTAR 차이나H(Ticker: 291130) - 중국 본토 기업들의 H주에 집중 투자하는 ETF로, 중국 본토 기업들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수수료는 약 0.69%입니다.


홍콩항생지수(Hang Seng Index)에 투자하는 ETF
  1. KODEX 홍콩H(Ticker: 280920) - 홍콩 항생지수에 포함된 주요 기업들에 투자하는 ETF로, 홍콩 시장의 대표적인 기업들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약 0.65%입니다.
  2. TIGER 홍콩H(Ticker: 310080) - 이 ETF는 홍콩 항생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으로, 홍콩 시장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수수료는 약 0.69%입니다.
  3. ARIRANG 홍콩테크(Ticker: 309210) - 이 ETF는 홍콩의 기술 관련 주요 기업들에 집중 투자하는 상품으로, 홍콩의 기술 부문 성장을 기대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수수료는 약 0.69%입니다.

 

2. 코파일럿

  • 위에서 얻은 경험으로 질문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서 물어봤습니다. 이렇게 나온 결과를 정리했습니다.
  1. 중국 대표지수 상하이종합지수(Shanghai Composite Index) 선전종합지수(SZSE Component Index) 홍콩항셍지수(Hang Seng Index) 이 3가지를 대표종목 5개씩 포함해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해줄래
  2. 상하이종합지수(Shanghai Composite Index) 선전종합지수(SZSE Component Index) 홍콩항셍지수(Hang Seng Index) 이 3가지 지수에 투자하는 국내 ETF 3가지씩 수수료, 거래대금 포함해서 정리해줘
  3. 너는 경제전문 블로거야 아래내용을 블로거처럼 마크다운 형식으로 정리해줄래(1,2,에서 나온 결과를 밑에 붙여넣기)
 
  • 1번 뤼튼-GPT4 와 비교해보면 일단 서문이 없네요.
  • 선전종합지수에 예시로 들어준 종목들이 좀 생소한 종목들입니다.
  • 그리고 수수료를 다 0.68%로 통일해서 알려주는 심각한 오류를 가지고 있네요. 그래도 챗GPT는 틀린값이지만 다르기라도 했는데 이건 아예 통일이네요


중국 증시 대표 지수와 종목


중국 증시의 대표 지수는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


  1. 상하이종합지수 (Shanghai Composite Index): 상하이종합지수는 중국 상하이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들을 대상으로 산출하는 지수입니다. 대표적인 종목으로는 다음과 같은 기업들이 있습니다:
  • Shandong Xinchao Energy Co Ltd
  • China XD Electric Co Ltd
  • Pengxin International Mining Co Ltd
  • PetroChina Co Ltd Class A
  • Nanjing Tanker Corp


2. 선전종합지수 (SZSE Component Index): 선전종합지수는 중국 선전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들을 대상으로 산출하는 지수입니다. 대표적인 종목으로는 다음과 같은 기업들이 있습니다:
  • 격력 전기
  • 오량액
  • 메이디그룹
  • 완커
  • 온씨 식품


3. 홍콩항셍지수 (Hang Seng Index): 홍콩항셍지수는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들을 대상으로 산출하는 지수입니다. 대표적인 종목으로는 다음과 같은 기업들이 있습니다:
  • 텐센트
  • 알리바바
  • HSBC 홀딩스
  • 평안보험
  • 중국 해양석유총공사


대표 지수별로 투자하는 국내 ETF 종류와 수수료
각 대표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ETF 종류와 그에 따른 수수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상하이종합지수(Shanghai Composite Index)에 투자하는 ETF
  • TIGER 차이나CSI300 ETF: 이 ETF는 상하이종합지수와 선전종합지수의 A주 중 대표 300개의 우량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운용 수수료는 연 0.68%입니다.
  • KODEX 중국본토 CSI300: 이 ETF는 상하이종합지수와 선전종합지수의 A주 중 대표 300개의 우량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운용 수수료는 연 0.68%입니다.
  • KBSTAR 중국본토대형주 CSI100: 이 ETF는 상하이종합지수와 선전종합지수의 A주 중 대표 100개의 우량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운용 수수료는 연 0.68%입니다.


2. 선전종합지수(SZSE Component Index)에 투자하는 ETF
  • 선전종합지수에 투자하는 국내 ETF에 대한 정보를 찾지 못했습니다. 대신 상하이와 선전 거래소에 상장된 A주를 중심으로 구성한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3. 홍콩항셍지수(Hang Seng Index)에 투자하는 ETF
  • TIGER 차이나 항셍 테크: 이 ETF는 항셍 테크 지수를 추종합니다.
  • KODEX 차이나 항셍 테크: 이 ETF는 항셍 테크 지수를 추종합니다.
  • TIGER 차이나HSCEI ETF: 이 ETF는 항셍 차이나 기업 (H) 지수를 추종합니다.


각 ETF의 수수료는 연 0.68%입니다. ETF 투자 시에는 계좌관리 수수료, 매매 수수료, 상품 수수료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각 수수료는 증권사별로 다르며, 일반적으로 ETF의 수수료는 0.05% ~ 1.00% 정도입니다. 매매 수수료는 ETF 매매 시 발생하는 수수료로, 증권사마다 다르며, 스프레드는 ETF 매매 시 발생하는 가격 차이로,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합니다.
이상으로 중국 증시 대표 지수와 그에 따른 국내 ETF 종류 및 수수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추가적인 질문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말씀해주세요!

 

3. GEMINI

 

  1. 중국 대표지수 상하이종합지수(Shanghai Composite Index) 선전종합지수(SZSE Component Index) 홍콩항셍지수(Hang Seng Index) 이 3가지를 대표종목 5개씩 포함해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해줄래
  2. 상하이종합지수(Shanghai Composite Index) 선전종합지수(SZSE Component Index) 홍콩항셍지수(Hang Seng Index) 이 3가지 지수에 투자하는 한국 ETF 3가지씩 수수료, 거래대금 포함해서 정리해줘
  3. 너는 경제전문 블로거야 아래내용을 블로거처럼 마크다운 형식으로 정리해줄래(1,2,에서 나온 결과를 밑에 붙여넣기)
 
  • 국내 ETF에 요청하지도 않은 종목코드를 적어줬다. 그런데 없는 종목이다. 종목명도 없는 종목이다.
  • 종목명이 중국어로 되어 있어 불편하다.
  • ETF 종류를 표로 깔끔하게 정리해준다.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중국 3대 지수인 상하이종합지수(SSE Composite Index), 선전종합지수(SZSE Component Index), **홍콩항셍지수(Hang Seng Index)**에 투자하는 국내 ETF를 비교 분석하여, 지금 투자하기 좋은 ETF를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중국 대표 지수 3가지 종목별 상세 분석 (2024년 4월 23일 기준)


1. 상하이종합지수 (SSE Composite Index)


지수 개요:
  • 중국 본토 상하이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요 기업 2,500여 개의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산출하는 지수입니다.
  • 중국 경제 전체의 성과를 대표하는 지표로 여겨집니다.


대표 종목 (5개):
  1. 工商银行 (601939): 중국 최대 규모의 국유은행으로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 建设银行 (601939): 중국 2번째로 큰 국유은행이며, 상하이종합지수의 최대 구성 종목 중 하나입니다.
  3. 中国银行 (601988): 중국 3번째로 큰 국유은행이며, 해외 금융 시장에서도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4. 贵州茅台 (600579): 세계적으로 유명한 증류주 생산 기업으로 높은 수익성을 자랑합니다.
  5. 平安保险 (601318): 중국 최대 규모의 보험 회사이며, 다양한 금융 상품을 제공합니다.


2. 선전종합지수 (SZSE Component Index)


지수 개요:


  • 중국 본토 선전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우량 기업 500여 개의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산출하는 지수입니다.
  • 상하이종합지수보다 성장성이 높은 지수로 평가받습니다.


대표 종목 (5개):
  1. 比亚迪 (002598): 전 세계 최대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 생산 기업이며, 전기차 사업에도 적극 진출하고 있습니다.
  2. 恒安国际 (003328): 세계적인 소비재 기업으로 다양한 종류의 휴지와 개인위생 용품을 생산합니다.
  3. 招商银行 (601988): 중국 4번째로 큰 국유은행이며, 투자은행 분야에서도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4. 中国平安 (601318): 선전종합지수의 최대 구성 종목 중 하나이며, 금융, 보험, 부동산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합니다.
  5. 韦恩股份 (002236): 의류, 신발, 액세서리 등을 생산하는 패션 기업으로 해외 시장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3. 홍콩항셍지수 (Hang Seng Index)


지수 개요:
  • 홍콩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홍콩 및 중국 본토 기업 50여 개의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산출하는 지수입니다.
  • 홍콩 경제 성장과 중국 경제와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대표 종목 (5개):
  1. HSBC Holdings (00005): 홍콩 본사의 글로벌 금융 기관으로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 China Construction Bank (00938): 중국 2번째로 큰 국유은행이며, 홍콩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중국 기업 중 시가총액이 가장 큽니다.
  3. Alibaba Group Holding (09988): 세계 최대 규모의 온라인 쇼핑몰 운영 기업이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4. Tencent Holdings (00700): 중국 최대의 소셜 네트워크 기업으로 다양한 IT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5. Meituan (03690): 중국 최대 규모의 온라인 음식 배달 플랫폼 기업이며, 다른 분야에도 진출하고 있습니다.




중국 3대 지수 투자 ETF, 거래대금 기준 최고 3가지 비교 (2024년 4월 23일 기준)
대표대표대표

 

4. CLOVA X

 

  • 위에 2.코파일럿이나 3. GEMINI 한테 문의한 것 처럼 질문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답변을 안한다.
  • 그래서 질문을 좀 바꿔서 했더니 대답합니다. 아래 질문들을 믹싱해서 최종 결과물을 만들었습니다.
  1. 경제블로거 처럼 작성부탁할게 아래 내용이 포함되게 작성해줘 중국증시 대표지수의 종류와 종목 대표지수에 투자하는 국내 ETF 종류 각각 3가지, 수수료 포함해서 작성
  2. 1.상하이종합지수(SSE Composite Index) 2.선전성분지수(SZSE Component Index) 3.홍콩항셍지수(Hang Seng Index) 위 3가지 지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줄래
  3. 각 지수별로 ETF 종류 3가지씩 예시로 들어줘 수수료와 평균거래대금도 포함해서 알려줘
 
  • 이것도 수수료랑 거래대금이 이상하네요.


중국 주식시장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시장으로, 다양한 대표 지수가 존재합니다. 대표적인 중국 증시의 대표 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1.상하이종합지수(SSE Composite Index)
  • 중국 상하이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 중, 대형주와 중형주로 구성된 지수입니다.
  • 시가총액 기준으로 중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지수 중 하나이며, 금융, 에너지, 산업재 등 다양한 업종의 종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1990년 12월 19일에 처음 발표되었으며, 2022년 7월 기준으로 약 3,500개의 종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선전성분지수(SZSE Component Index)
  • 중국 선전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 중, 대형주와 중형주로 구성된 지수입니다.
  • IT, 바이오, 신소재 등 첨단 산업의 종목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중국의 성장 산업을 대표하는 지수 중 하나입니다.
  • 1991년 4월 3일에 처음 발표되었으며, 2022년 7월 기준으로 약 1,800개의 종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홍콩항셍지수(Hang Seng Index)
  •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 중, 대형주와 중형주로 구성된 지수입니다.
  • 중국 본토 기업뿐만 아니라, 홍콩에 상장된 외국 기업도 포함되어 있으며, 중국과 홍콩의 경제 상황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지수 중 하나입니다.
  • 1964년 7월 31일에 처음 발표되었으며, 2022년 7월 기준으로 약 50개의 종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중국 대표 지수별 ETF 종류와 수수료, 평균 거래대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1.상하이종합지수(SSE Composite Index)


  • KODEX 차이나CSI300
    • 기초지수: CSI 300
    • 수수료: 연 0.07%
    • 평균 거래대금: 약 1,000억 원
  • TIGER 차이나CSI300
    • 기초지수: CSI 300
    • 수수료: 연 0.07%
    • 평균 거래대금: 약 1,000억 원
  • KBSTAR 차이나HSCEI(H)
    • 기초지수: Hang Seng China Enterprises Index
    • 수수료: 연 0.07%
    • 평균 거래대금: 약 100억 원


2.선전성분지수(SZSE Component Index)


  • KINDEX 중국본토CSI300
    • 기초지수: CSI 300
    • 수수료: 연 0.07%
    • 평균 거래대금: 약 200억 원
  • KODEX 심천ChiNext(합성)
    • 기초지수: ChiNext
    • 수수료: 연 0.45%
    • 평균 거래대금: 약 50억 원
  • TIGER 차이나항셍25
    • 기초지수: Hang Seng 25
    • 수수료: 연 0.09%
    • 평균 거래대금: 약 100억 원


3.홍콩항셍지수(Hang Seng Index)


  • KODEX 차이나H
    • 기초지수: Hang Seng Index
    • 수수료: 연 0.30%
    • 평균 거래대금: 약 500억 원
  • TIGER 차이나HSCEI
    • 기초지수: Hang Seng China Enterprises Index
    • 수수료: 연 0.07%
    • 평균 거래대금: 약 200억 원
  • KBSTAR 차이나H선물인버스(H)
    • 기초지수: Hang Seng China Enterprises Futures Inverse Index
    • 수수료: 연 0.40%
    • 평균 거래대금: 약 10억 원


위 ETF들은 중국 대표 지수의 성과를 추종하는 상품으로, 투자자들은 이를 통해 중국 주식시장에 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중국 주식시장은 변동성이 크고, 정치적 이슈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투자 전에 충분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수수료는 ETF의 운용보수와 기타 비용을 합한 것으로, 투자자들이 부담해야 하는 비용입니다. 수수료가 높을수록 ETF의 수익률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투자 전에 수수료를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평균 거래대금은 ETF의 유동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평균 거래대금이 높을수록 ETF의 거래가 활발하고, 투자자들이 쉽게 매매할 수 있습니다.

 

AI엔진별로 나름 구체적인 질문을 해봐도 각각 답변 주는 게 다릅니다. 이런 걸 보면 프롬프트엔지니어링을 최적화하려면 하나의 엔진만 죽어라 하고 파야하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모든 AI 엔진에 맞는 프롬프트 질문법이 없을 것 같네요.(아 영어로 하면 동일할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갑자기 듭니다.)

이런 경제 관련 내용은 숫자가 틀리면 안 되는데 모든 AI엔진이 숫자가 다 틀리게 나와서 오늘은 마음에 드는 게 하나도 없네요.

이 글 쓰고 나온 결과물을 복사해서 붙여 넣고 블로그 글하나 올리려고 했는데 직접 하나씩 들어가서 종목이랑 거래대금, 수수료를 조사해서 작성해야 할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