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합격 할 자신이 생겼고 경력승인까지 완료되었다면 1년 이내에 시험을 봐야한다. 나같은 경우에는 일단 2주정도 공부하고 경력승인 요청하고 2일 후에 경력승인된거 보고 바로 신험신청해서 남은기간 동안 공부했다. 시험일자가 안 정해졌으면 설렁설렁 했을텐데 일단 시험 신청하고 공부하니까 좀 더 열심히 했던 것 같다. 이거야 사람마다 다르니까 개인 스타일에 맞춰서 공부하시면 될 듯하다.
시험방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있다. 신청화면에서는 온라인 시험은 한달에 최대 두번까지 있다고 적혀있는데 나는 24년 3월에 봤는데 신청화면에서 월 1회 밖에 신청일자가 없었다. 3/6일에 월초에 시험을 신청한거라서 아마 1회차가 마감이 안되어서 3/24일자만 보였던걸지도 모르겠다.1회차가 마감이 되면 2회차 온라인 시험이 개설될지도 모른다는 혼자만의 상상을 펼쳐본다. 왜냐하면 시험신청 할 때 24년 12월까지 선택 할 수 있는데 이때 각 월별로 1회씩 밖에 없었다.
오프라인시험은 센터에가서 보는건데 서울하고 대구 이렇게 2개에서 시험 가능하다고 하니 참고하시길 바란다. 일단 오프라인으로는 보질 않아서 잘 모르겠다.
캡쳐한 화면이 별로 없는데 일단 캡쳐해논 화면을 보면서 매뉴얼식으로 적어보도록 하겠다. 얼마 안 지난건 같은데 기억이 잘 안난다.
1. 일단 해외결재 되는카드로 결재를 해야한다.
- 경력승인 받고 pmi사이트 들어가서 본인 대쉬보드 들어가면 payment for exam 으로 상태가 바뀌어 있을거다.
- 온라인으로 볼 건지 오프라인으로 볼건지 결정하고 (나는 온라인 시험으로봤는데 아래 캡쳐화면 보면 온라인은 현지언어와 현지감독관 only라고 되어있고 test 센터시험은 영어와 현지언어 둘중 하나를 고를 수 있는게 차이인 것 같다. 센터 시험은 감독관에 대한 내용은 안나와 있다. 예전블로그 보면 온라인시험도 영어감독관이 나와서 당황했다고 들었는데 한국인 감독관으로 바뀌었나 보다.)
- 시험보는 로케이션 선택하고 "South Korea" 선택이 잘 안되서 내가 주소 잘못적었나 했는데 크롬 껏다 켜고 컴퓨터 껏다켜니까 암튼 선택이 되었다. 여기서 시간을 많이 잡아먹었던 것 같다. 내가 주소를 한국으로 안했나 하면서 주소도 재확인하고 겨우겨우 나라 선택했던거 같다.
- 암튼 결재하는건 크게 어렵지 않았던 것 같다.
- 온라인 시험신청하기 전에 내 컴퓨터에서 돌아가는지 확인해보길 추천한다.
이 사이트에서 시키는대로 하면 된다. https://vip.eztest.org/client/pmi/home/test?lang=ko
Pmi
vip.eztest.org
2. 결재완료되었으면 시험 일정을 선택한다.
- 시험은 위에서도 이야기했지만 한달에 한번이 베이스로 진행되고 최대 2회까지라고 적혀있다. 실제로 2회를 하는지는 내가 보질 못해서 장담은 못하겠다.
- 일단 위에서 결재완료하고 나서 본인 대쉬보드에 들어가보면 "Schedule Exam"으로 바뀌어져 있을거다. 그거 누르고 시험일정을 선택하면 된다.
- 내가 24년 3월에 시험일정 선택했을때는 24년 12월까지 각 월별로 1회씩 시험일자를 선택 할 수 있었다. 25년은 안 넘어가졌다.
- 이미 지나간 3/24일은 패스하고 4/20, 5/26, 6/22, 7/20, 8/4, 9/1, 10/27, 11/24, 12/22 이 있었으니까 시험 스케쥴을 참고해서 공부일정을 짜시길 바란다.
- 결재하고 나면 일단 시험일정 변경과 취소는 30일전에는 무료이고 2일전까지는 70달러이고 2일 이내면 불가하다. 아래 그림 참고하시길 바란다.
- 그리고 결재하고나면 주의사항, 준비사항등이 이메일로 날라온다. 그리고 시험코드도 날라온다. 이 Test code, Ticket Number를 실제 시험에서 치고 들어가야 하니까 당연히 메일을 지우면 안되겠죠.
암튼 시험일자까지 선정했다면 이제 공부밖에 답이 없는듯하다. 덤프로 공부하다보면 생각보다 많이 틀리는데 너무 걱정하지 말자. 나도 덤프에서 너무 많이 틀려서 자신감 상실했는데 본시험은 생각보다 쉽다. 이전글에 나온 합격후기 검색해서 최근에 나온 문제 위주로 먼저 공부하고 시간남으면 덤프 문제중에 100%로 통일되는 문제 풀고 그다음 나머지 문제들을 풀어보자. 아마 덤프에서 답이 갈라지는 문제보다는 답이 하나로 통일 되는 문제처럼 확실한 문제들이 60~70% 정도 나왔던 것 같다. PMI는 합격선도 공개하지 않아서 몇문제를 맞춰야 합격인지도 애매하다. 예전에는 61%가 합격권이였는데 지금은 합격선을 공개안해서 70%란 말이 들리고 75%면 확실한 합격이라고들한다. 75%로 계산해보면 180문제중 135문제만 맞추면 된다.
(이건 정말 개인적인 생각인데 덤프에 답 2개가 비슷비슷한 정답율을 보이면 둘 다 정답으로 처리해주는 것 같기도 하다. 이건 생각보다 내 점수가 좀 높게 나왔기 때문에 한번 그냥 상상의 나래를 펼쳐본다.)
아래는 17년도에 한국프로젝트경영협회에서 공지사항으로 게시한 합격기준이다. 지금이랑은 다르니까 재미삼아 보시길 바란다.
'나의_도전기록 > PMP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P 온라인 시험 후기 (0) | 2024.04.02 |
---|---|
PMP 시험신청(학력, 경력 작성방법) (0) | 2024.03.31 |
PMP Dump(기출문제) 공부경험 및 사이트 정리 (0) | 2024.03.30 |
[PMP] 프로젝트 관리 전문가(PMP) 개요 및 준비방법 (0) | 2024.03.30 |